오래(1~3년이상) 사용한 컴퓨터는 메인보드상에 있는 콘덴서(=둥글게 생긴것!)가
녹슬거나, 부식이 되면 \"다운 및 리부팅\" 증상을 보입니다.!
보통 평균적으로 3개정도 나가면(=녹슬거나 부식된경우!) 다운이 자주되거나
기타 리부팅 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는 종종 일어나며
메인보드(=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메인보드상에 콘덴서가 3개이상(=3~7,9개) 나가면 다운증세가 3개 나갔을경우에
비해 더 자주 일어날 것이고, 리부팅 증세가 일어나는 주기의 간격도 좁아 지겠죠.!
[ ★ 해 결 법 ★ ]
가까운 PC전문매장(=용산PC상가 같은 곳!)이 밀집해 있는 곳에 가시면
\"메인보드 콘덴서를 전문수리\"하는 곳이 있으며,
그외 참고로 아래의 사이트(=카페 및 기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① http://blog.naver.com/naver_admin?Redirect=Log&logNo=140018818669
② http://blog.naver.com/garram?Redirect=Log&logNo=40014930835
③ http://blog.naver.com/doroon?Redirect=Log&logNo=11501363
수리비는 보통 1만원선에서 가능합니다.!
하지만, 요즘 PC부품 값이 워낙 많이 내렸으므로 수리해서 쓰는것보단
돈을 조금더 투자해 새것을 사는것이 차후에 시간적으로 이득이겠죠! *^^*
★ 콘덴서 3개정도는 수리를 생각해 보는것도 좋으나, 그 이상 나갔을 경우엔
메인보드를 차라리 새것으로 교체하시는것이 나을것입니다.! ★
그외에 비프음으로 진단을 내리는 방법은 BIOS방식에 따라 조금 다르며
아래와 같습니다.! 하나 인쇄해 두시고 사용하셔도 유용하실듯 싶네요.! *^^*
★ 비프음(=일반적 비프음) ★
횟수별 에러진단 및 해결법!(=3, 8회로 인한 고장이 자주 일어납니다.!) PC를 켤때 아무런 비프음이 들리지 않는다면 PC의 메인보드나 PC의 기본 스피커, 케이스 전원 쪽에 문제가 있을수 있음 → 메인보드, 스피커, 전원 점검 1 정상동작 2 메모리 문제. 비디오가 정상 동작하면면 메모리의 첫 64kb 부분의 페리티 체크 에러. 메모리 확인 및 교체 3 비프음 2번의 상황과 같음 메모리 확인 및 교체 4 비프음 2번의 상황이거나 메인보드의 타이머 불량. 메인보드 확인 및 교체 5 메인보드나 혹은 CPU 불량. 메모리를 다른 위치에 꽂아 다시 부팅을 해본다. 메인보드나 혹은 CPU교체 6 메인보드에서 키보드를 컨트롤하는 칩이 불량. 다른 키보드를 사용하거나 메인보드교체 7 CPU 불량 CPU나 메인 보드를 교체 8 비디오 카드불량, 비디오 카드자체 불량이거나 비디오 메모리불량. 다른 비디오카드로 교체 9 BIOS 자체가 불량 BIOS를 교체하거나 메인보드를 교체 10 CMOS 자체가 불량. 메인보드를 교체 11 캐쉬메모리 불량이거나 캐쉬메모리가 비활성화 되어 있음. 다른 캐쉬메모리로 교체하든지
[부팅시 비프음에 따른 고장 진단법 - 3가지 BIOS별 조금씩 다름!] ① AMI 바이오스
1번 --> 램 불량이거나 램끼리 규격이 안맞을때(Dram 리플레시실패)
2번 --> 패리티 체크 실패(Parity라함은 오류를 검출하기위한 여분의정보를 일컫는다.)
3번 --> 기본 64KB(도스영역) 메모리 점검 실패( 메모리 문제)이다. 메모리가 잘못 꽂혔을 수가 있으므로 메모리를 뺀후다시장착한다.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메모리를 다른 정상적인 PC에 바꾸어 장착해 본다. 메모리를 바꿨는데도 해결이 안되면 메모리 소켓의 불량일 확률이 높다. 메인보드를 A/S 받아야 한다.
4번 --> 시스템 타이머 실패 .메인보드 이상에 관련된 부분이다. CMOS 밧데리를 교체하거나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메인보드를 A/S 받아야 한다
5번 --> 프로세서(CPU) 오류.CPU 관련 에러다. CPU를 빼서 연결상태를 확인해서 다시 꽂아보고 클럭수를 낮추거나 다른 CPU로 교환해서 테스트 해본다.
6번 --> 먼저 소리가 가장 크다는게 특징이다. 키보드컨트롤러/Gate 20 실패. 입력장치 에러다. 키보드 연결을 확인해서 다시 한번 연결해 보고 키보드를 다른것으로 바꾸거나 메인보드의 키보드 커넥터를 교체한다.
7번 --> 가상모드 오류(4번의 비프음과 동일)
8번 --> 비디오 카드 인식 오류.그래픽카드가 정확하게 꽂혀있나 확인하고 VGA카드의 슬롯을 바꾸거나 VGA카드를 다른 것으로 교체해서 작동시켜본다.
9번 --> 롬바이오스 체크 오류. 변경된 바이오스의 내용을 저장하거나 메인보드를 A/S 받아야 한다.
10번 --> CMOS 읽기/쓰기 오류(ROM BIOS CHIP을 바꾸는데 부품만 1만5천원이 든다)
11번 --> 캐시 불량.캐시를 Disable 시켜서 부팅을 시도하거나 캐시를 교체하거나 메인보를A/S받아야 한다. 보통 이런 메시지는 잘안나오는데 캐시를 업그레이드 하고 난후 문제인 것 같다.
② 어워드 바이오스
1번 짧게 --> 시스템 정상
2번 짧게 --> 시스템 에러(화면상에 나타난 에러메시지를 참고로 해결한다.)
3번 짧게 --> 키보드 에러. 입력장치 에러다. 키보드 연결을 확인해서 다시 한번 연결해 보고 키보드를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 메인보드의 키보드 커넥터를 교체한다.
1번 길게 1번 짧게 --> 메인보드 에러.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주변장치들의 케이블연결이나 소켓/슬롯에 장착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CPU,RAM,VGA...등을 뽑았다가 다시 설치해 본다. 주변장치들이 이상이 없는데도 계속해서 비프음이 울리면 메인보드를 A/S 받아야 한다.
1번 길게 2번 짧게 --> VGA 카드 에러.VGA 카드가 메인보드 슬롯에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해본다. 뽑았다가 다시 꽂아서 부팅을 해본다.
1번 길게 3번 짧게 --> VGA 카드에러.VGA 카드가 메인보드 슬롯에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해 본다. 뽑았다가 다시 꽂아서 부팅을 해본다.
연속/반복/없음-->시스템의 주변장치들이 연결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시스템을 모두 분해해서 처음부터 다시 연결해 본다.
③ 피닉스 바이오스
1-1-3번--> CMOS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다. 건전지 교환이나 점퍼 셋팅이 잘되었는지 확인한다.
1-1-4번--> 바이오스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다. 대부분 바이오스를 교환해야한다.
1-2-1번--> 마더보드에 있는 타이머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다.
12-2번--> 마더보드가 불량인 경우이다. 전문 수리점에 A/S를 맡겨야 한다.
1-2-3번--> 마더보드나 메모리가 불량인 경우이다. 메모리가 제대로 꽃혀있는지 혹시나 메모리 불량이 아닌지 확인한다.
1-3-1번-->위와 같다.
1-3-3번-->위와 같다.
1-3-4번-->위와 같다.
1-4-1번-->위와 같다.
1-4-2번-->메모리중 일부가 불량인 경우이다. 업그레이드를 했다면 다른거로 교체해본다.
2-?-?번--> 두 번의 경고음으로 시작하는 것은 모두 메모리 가운데 일부가 불량인 경우이다.
3-1-1번-->마더보드에 있는 칩가운데 일부가 불량인 경우로 마더보드 전체를 갈아야한다.
3-1-2번-->위와 같다.
3-1-3번-->위와 같다.
3-1-4번-->위와 같다.
3-2-4번-->키보드 자체의 이상또는 키보드를 제어하는 칩이 이상인 경우이다.
3-3-4번-->컴퓨터가 비디오 카드를 찾지 못하는 경우이다.
3-4-1번--> 비디오 카드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다.
3-4-2번--> 위와 같다.
3-4-3번--> 위와 같다.
4-2-1번--> 마더보드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교체가 불가피한 경우가 많다.
4-2-2번--> 먼저 키보드를 점검해보고 이상이 없는 경우는 마더보드문제일 수 있다.
4-2-3번--> 위와 같다.
4-2-4번-->카드중의 하나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 각 카드를 하나씩 점검해야한다.
4-3-1번-->마더보드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
4-3-2번--> 위와 같다.
4-3-3번-->타이머 칩중에 결함이 있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대부분 마더보드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4-3-4번-->CMOS를 호출해서 날짜와 시간을 검사해 보아야 한다. 문제가 계속 발생하면 백업 배터리를 교환해야 한다. 전지교환후에도 문제가 계속 발생하면 전원공급장치를 점검해 보고 그래도 계속 이상이 발생되면 마더보드 자체를 교한해야한다.
4-4-1번-->직렬포트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입/출력 카드를 다시 꽂아 보아야 한다.
4-4-2번-->병렬포트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다.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입출력 카드를 다시꽂아 본다.
4-4-3번-->수치 처리 연산자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