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장비구비 예정목록을 아래와 같이 하려고 합니다. 어떤가요.
(전용 스튜디오 공간이 없어, 일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촬영하려고 합니다.) 캠코더(소니 HVR-A1N), 무선마이크(소니 ECM-HW2, 또는 소니 UWP-V1), 조명(쥬피터 65w 2개)
2.동영상 촬영(전문가급)을 해본적이 없는 비전문가의 경우에도 해볼만 한지요. 아니면 유료로라도 배워야만 되고 배울수 있는 곳이 있는지요.
3.전문편집인력이 아닌 기본적인 툴(베가스나 프리미어..)정도 다룰줄 아는데, 동영상 강의용 편집 시도해도 되는지..압축률이나 해상도 문제등..
1.장비구비 예정목록을 아래와 같이 하려고 합니다. 어떤가요.
(전용 스튜디오 공간이 없어, 일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촬영하려고 합니다.)
캠코더(소니 HVR-A1N), 무선마이크(소니 ECM-HW2, 또는 소니 UWP-V1), 조명(쥬피터 65w 2개)
답변. 우선 a1n정도면 충분합니다. 일단 삼각대위에 올려놓고 흔들리지만 않게 찍으면 됩니다 ^^;
a1n이 저조도에 약하기 때문에 쥬피터를 이용하시면 더 좋구요. 일단 큰 무리는 없을 것같네요 ^^;
2.동영상 촬영(전문가급)을 해본적이 없는 비전문가의 경우에도 해볼만 한지요. 아니면 유료로라도 배워야만 되고 배울수 있는 곳이 있는지요.
답변. 이러닝 같은 동영상 샘플을 구해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지식 정보를 전달하는것이 동영상의 주 목적이므로 크게 카메라 워킹 같은것이 필요 없습니다. 안 흔들리게 잘만 찍으면 됩니다. ^^; 그리고 칠판 글씨가 보이게 찍으셔야 겠죠??
3.전문편집인력이 아닌 기본적인 툴(베가스나 프리미어..)정도 다룰줄 아는데, 동영상 강의용 편집 시도해도 되는지..압축률이나 해상도 문제등..
답변. 재미난 것은 큰 업체들도 베가스나 프리미어는 잘 안씁니다. 찍은것을 실시간으로 컴퓨터로 바로 캡쳐해서 압축을 하기때문에, 안쓴다고 하더군요. 실제 업체들은 속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베가스나 프리미어로 압축을 하셔서 wmv로 출력을 하실때 CBR 방식보다는 VBR 방식을 추천합니다. VBR방식으로 압축을 하시면 화질이 더 좋습니다. 화질을 약 80% 정도로 맞추어서 출력하면 약 300kbps 정도의 전송속도가 나옵니다.
|